오늘의 본문
데살로니가전서 5장 16~18절
16 항상 기뻐하라
17 쉬지 말고 기도하라
18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오늘은 “추수감사주일”입니다. 추수감사절은 말 그대로 “한 해의 수확을 하나님께 드리며 감사하는 날”입니다. 우리는 그 옛날처럼 추수를 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 절기를 맞아 지난 한 해를 돌아보며 하나님께 감사드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마음 문 두드리기
한 해를 돌아보며 감사한 일을 나누어봅시다.
신앙인의 감사
여러분은 올 한해 어떤 감사한 일들이 있었나요? 푸른 청년들과 주위에 믿는 친구들에게 물어보니 아래와 같은 감사의 내용들을 말해주었습니다. “이사를 가서 감사, 살이 빠져서 감사, 알바가 구해져서 감사, 졸업을 하게 되어서 감사, 일상을 살아가는 것이 감사하다.” 생각보다 사소한 감사 제목들입니다. 엄청난 감사의 제목이 있다기보다는 다들 사소하고 평범한 일상에서 감사를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의외의 감사 제목들도 있었습니다.
몸이 아팠는데 감사했다. 덕분에 쉴 수 있어서….
인간관계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감사했다.
해결되지는 않았지만 그 일을 계기로 나의 성품을 돌아볼 수 있어서…
힘든 일이 있었는데 감사했다. 주변의 도움을 받으며 사랑을 느낄 수 있어서…
이처럼 일반적으로 감사하기 어려운 일들에 대해서 감사하는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모든 것이 다 감사하다는 분들도 많았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의 이러한 감사 고백을 들으면서 신앙인의 감사가 어떤 모습인지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믿는 사람들이 모든 상황에 감사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을 믿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을 믿을 때, 우리는 모든 상황을 수용할 수 있게 되고 감사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 본문이 바로 그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 나눔 질문
1. 신앙인의 감사와 비신앙인의 감사에 차이점이 있을까요?
세 가지 명령
오늘 본문 말씀에는 “세 가지 명령”이 나타납니다.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 세 명령은 평안한 일상을 보내는 사람도 지키기 어려운 명령입니다. 그런데, 이 명령이 보내진 데살로니가 교회의 현실은 도무지 기뻐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데살로니가 교회는 바울이 데살로니가에 아주 짧은 시간, 약 3~6개월 정도 거주하면서 세운 교회입니다. 바울은 더 오래 있으며 사람들을 가르치고 싶었는데, 교회의 부흥을 시기하는 유대인들의 위협으로 인해서 데살로니가에 더 있을 수 없었습니다. 유대인들이 거리의 불량배들을 끌어 모아 패거리를 지어 교인들의 집을 습격하고, 교인들을 끌고 가서 황제의 명령을 거스르는 자들이라고 관원들에게 고발하였습니다. 또 바울을 찾아 죽이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어쩔 수 없이 베뢰아라는 곳으로 몸을 피했습니다(행 17장).
지도자인 바울이 떠났음에도, 박해는 그칠 줄 몰랐습니다. 오히려 더 심해졌습니다. 박해를 받아 죽은 사람들까지 생겼습니다. 이런 상황에 있는 교회에게 바울은 편지를 보내어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고 말합니다. 이렇게 큰 어려움 당하고 있는 사람들이 도대체 어떻게 기뻐하고 감사할 수 있을까요? 바울이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이런 말을 한 것일까요?
#나눔 질문
2.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는 명령이 나에게는 어떻게 느껴지나요?
3. 바울이 어려운 처지에 있는 교회에게 이 명령을 준 이유가 무엇일까요? 상상해봅시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가 누리는 특권
아무 맥락 없이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는 구절을 볼 때는 이 말이 꼭 지키기 어려운 명령, 지키기 어려운 짐을 사람들에게 지우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이 편지가 쓰인 배경을 생각해보면, 사실 이 명령이 데살로니가 교회 사람들을 살리기 위하여 주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울은 사랑하는 교인들을 지키고 위로하기 위하여 이 명령을 편지로 전하였습니다. 바울은 무작정 기뻐하고 감사하라고 하지 않습니다. 18절 하반절을 보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라고 덧붙입니다.
18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바울의 명령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쉬지 말고 기도하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범사에 감사하라’는 말입니다. 이것은 예수 밖에서는 할 수 없는 일입니다. 예수 안에 있으면 기뻐하고, 기도하고, 감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기뻐하고, 기도하고, 감사할 때 우리는 예수 안에 있게 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어려움이 영원하지 않으며, 반드시 구원의 때가 온다는 것을 성경을 통해서 배웠기 때문에 어려움을 당할 때도 기뻐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기도하면 주님이 들으시고 응답하신다는 것을 알기에 기도할 수 있습니다. 또 그리스도인들은 주님이 나를 보고 계신다는 것을 믿습니다. 나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믿습니다. 슬픔 대신에 기쁨을, 재 대신에 화관을, 괴로운 마음에 찬송을 주시리라는 것을 믿습니다. 그렇기에 감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외부 상황과 환경이 어떻게 변하든지 그리스도인들은 선하신 하나님을 믿는 믿음 때문에 기뻐할 수 있고 감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기뻐하고, 기도하고, 감사할 수 있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그리스도에게 속한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특권이고 삶의 방식인 것입니다.
결국,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회 사람들에게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고 한 것은 어려운 상황에 있던 그 사람들을 난처하게 만들고 괴롭게 하려고 한 것이 아니라, 자꾸만 현실을 향하여 절망하려고 하는 그들의 눈을 하나님께로 돌리기 위함이었던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아서 어떤 상황에서도 기뻐하고 기도하고 감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던 것입니다.
여러분, 한 해 어떤 일을 겪으셨습니까? 행복하고 기쁜 일을 겪은 분들, 입 밖으로 내기도 힘들만큼 어려운 일을 겪은 분들, 평범하게 보낸 분들, 저마다 지난 날에 대한 감상이 다를 텐데,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모든 일을 하나님께 감사로 올려 드릴 수 있는 우리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나눔 질문
4. 나는 어떤 때에 기뻐하고, 기도하고, 감사하나요? 오늘 말씀에 비추어 나의 생활을 되돌아보고, 범사에 감사하기를 다짐해 봅시다.